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2231
2231번: 분해합
문제 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 예를 들어, 245의 분해합은 256(=245+2+4+5)이 된다.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 물론,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 반대로,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
www.acmicpc.net
수학적 센스가 있어야 하는 것 같다. 나는 그게 없어서 다른 분의 풀이를 참고했다.
백준 2231. 분해합 문제 풀이
백준 2231. 분해합 문제 풀이 "분해합"이라는 수학용어가 있습니다. 어떤 자연수 N을 N과 각 자릿수를 1의 자리로 하여 합산한 수를 분해합이라고 하는데요. 이를테면 123 이란 숫자의 분해합은 123 + 1 + 2 + 3..
itadventure.tistory.com
반응형
'프로그래밍 > 코딩테스트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백준 9012. 괄호 (0) | 2020.01.10 |
---|---|
[Python] 백준 1654. 랜선 자르기 (0) | 2020.01.09 |
[Python] 프로그래머스. 징검다리 (Level 4) (0) | 2020.01.07 |
[Python] 프로그래머스. 멀리 뛰기 (Level 3) (0) | 2020.01.06 |
[Python] 백준 14891. 톱니바퀴 (1) | 2020.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