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고 기록하는, 경제학과 출신 개발자의 노트

학습일지/네트워크

[Edwith] 통신의 기초 3강. 인터넷

inspirit941 2020. 1. 23. 13:59
반응형

https://www.edwith.org/tel-ewha-course/joinLectures/13274

 

통신의 기초 강좌소개 : edwith

- 도인실

www.edwith.org

3. 인터넷

  1. IP주소

IP = Internet Protocol.


TCP/IP 5계층 중 Internet Layer가 IP계층. -> 네트워크가 서로 달라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

전송하고자 하는 최종 목적지가 바로 IP주소. 이 데이터를 누구에게 전달할지를 IP주소 보고 판단.


IP계층에서 헤더값으로 붙는 게 IP.

 

IP vs DNS(도메인 네임 서버)

인터넷 사용할 때 ‘이름’을 IP주소로 변경하는 게 DNS. 사용자의 domain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한다.

  • IPv4 주소: 32bit. 이론적으로 42억개 정도의 주소가 가능.
    0~255 사이의 십진수 4개로 표현. 각각의 주소는 전세계적으로 유일하게 구별되는 값. = 주소 부족 문제 발생
  • IPv6 주소.
    인터넷 주소 고갈문제 해결 + 확장성과 데이터 보안 강화용도로 제안.
    128비트의 IP주소 사용. (2^128) + 기존 IPv4와 호환성을 최대로 하는 방향으로 설계됨.
    (IPv4 기반으로 설계된 인터넷 시스템… 한번에 전환하기는 어려움. IPv6로 쉽게 전환하지 못하고 있음. 언젠가는 넘어가겠지만 뭐. 4bit를 하나의 값으로 - 16진수로 - 표현하고 있다.)
  1. IP주소 체계 - IPv4 기준.

32bit 구성 -> 8bit별로 구분. -> 255.255.255.255 (십진수 구분)
IP주소는 내부적으로 ‘네트워크 주소’ & ‘호스트 주소’ 로 나뉘어 있다.


네트워크 주소 = (일종의 집주소). 호스트 주소 = (해당 집에 사는 사람 주소)
단, 어디서부터가 네트워크 주소 / 호스트 주소인지는 조금씩 다르다.

 

주소 클래스는 크게 세 개로 나뉜다. 클래스 A, B, C
A는 첫 번째 옥탯(맨 앞 10진수)의 범위가 0~127
B는 128 ~ 191, C는 192 ~ 223까지다.
즉 첫 번째 옥탯의 범위를 보면, 해당 IP주소가 어느 클래스인지 알 수 있음.

 

A -> C로 갈수록 네트워크 규모가 작다. 규모가 클수록 많은 호스트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

클래스 A = 네트워크주소 . 호스트 . 호스트 . 호스트
클래스 B = 네트워크주소 . 네트워크주소 . 호스트 . 호스트
클래스 C = 네트워크주소 . 네트워크주소 . 네트워크주소 . 호스트

 

  1. IP주소 분류
  • 정적 IP / 동적 IP 구분방식.
  • 인터넷 서비스업체 입장에서 고객을 유치했을 때. IP주소가 있어야 인터넷 서비스를 하는데 IPv4 주소는 부족한 경우… ‘가입자 수 != 현재 사용하는 IP주소’ 상태면, 사용하는 IP주소만 할당해주자. 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그때 IP를 할당해주는 방식 = 동적 IP할당.

이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DHCP = 동적주소 할당 프로토콜’.

  • 공인IP / 사설IP 구분방식. (위에서 말한 정적 , 동적 IP는 전부 공인IP)

사설IP = 외부에서 볼 때는 IP로 보이지 않는 걸 말함. 공유기가 할당하는 가짜 IP인 경우가 많음. (공유기 자체는 공인IP, ‘공유기 입장에서만 기기들 구분해주면 되고, 인터넷 요청 및 응답은 공유기의 공인IP로 해결할 수 있지 않나’ 에서 출발한 개념이다.)

  1. 인터넷TV

인터넷 = 컴퓨터로 연결하여, TCP/IP 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말한다.

인터넷 사용료는 어떻게 되나? 무료. 우리가 돈 내는 건 ‘인터넷 접속을 위한 장비 사용료’가 된다.

 

인터넷방송(IPTV)등장 이전: 방송국에서 전파 송출 -> 안테나로 잡아서 TV에 연결해 볼 수 있었음. = 건물 옥상에 안테나가 있음.
케이블TV의 등장 = 안테나 대신 케이블.
인터넷TV의 등장 = 셋톱박스 연결 + 셋톱박스와 인터넷 연결. 즉 TV로 인터넷을 하는 거라고 보면 된다.

TV + 초고속 인터넷 + 기타 기능 = IPTV 인 셈.

 

인터넷선에 공유기 연결 -> 공유기와 셋톱박스 연결 = 인터넷으로 들어온 신호를 변환해서 TV로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게 셋톱박스인 셈.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다 = 쌍방향 통신이 가능해졌다. ( = 누구나 원하면 방송할 수 있게 되었다는 특징도 포함.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방송을 볼 수 있는 AOD, VOD 기능도 제공.)
(공중파 방송은 기본적으로 단방향. 전파를 쏘면, 받아서 보여주는 형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