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KA에서 비중있게 다루는 내용이 아니다.
일반적으로는 모니터링을 위한 tool이 따로 있고, 그걸 k8s에 붙여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
k8s에 내장된 모니터링 컴포넌트 사용법과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방법만 다룬다고 보면 된다. 별 내용 없음
Logging and Monitoring
강의 설명 기준으로는, k8s에서 built-in으로 제공하는 완벽한 모니터링 툴은 없는 상태. 여러 모니터링 툴을 붙여서 사용하고 있다.
Metrics Server: Node / Pod에서 정보를 수집, 취합한 뒤 메모리에 저장하는 도구. 따라서 metrics storage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How metrics are Generated on the Node / Pod?
- kubelet 내부에 subComponent인 cAdvisor에서 처리한다.
- node / pod의 metrics를 받은 뒤, kubelet을 통해 metrics server로 전달하는 방식.
설치 방법
확인 방법
kubectl top node
-> 노드의 현재 사용량 확인.
Logging Mechanism / Application Logging
- Docker image로 pod 내부에서 작동하는 application의 로그 수집하기.
- 예시의 경우 event-simulator라는 이미지를 pod에 올려 실행함.
- 만약 pod 내에 컨테이너가 여러 개라면, pod에서 로그를 가져올 container를 정확히 지정해야 한다.
내용이 짧은 이유? CKA에서는 다루는 내용이 이 정도뿐임.
실제로 모니터링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선술한 것처럼 다른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붙여서 사용하는 편이 좋다.
반응형
'학습일지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KA 대비 kubernetes 스터디 - 4. Application LifeCycle Management (0) | 2022.03.09 |
---|---|
헷갈리니까 확실히 알고 쓰자! Docker의 Entrypoint, cmd와 k8s의 command, args 비교하기 (0) | 2022.03.05 |
CKA 대비 kubernetes 스터디 - 2. Scheduler (0) | 2022.02.27 |
CKA 대비 kubernetes 스터디 - 1. Core Concept (0) | 2022.02.25 |
Kubernetes Deep Dive - (8). Storage (0) | 2021.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