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14503
14503번: 로봇 청소기
로봇 청소기가 주어졌을 때, 청소하는 영역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장소는 N×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1×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칸은 벽 또는 빈 칸이다. 청소기는 바라보는 방향이 있으며, 이 방향은 동, 서, 남, 북중 하나이다. 지도의 각 칸은 (r, c)로 나타낼 수 있고, r은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 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로봇 청소기는 다음
www.acmicpc.net


삼성SW역량평가 A형 기출문제로,
엄청 어려운 문제라기보다는 신중하게 생각해서 코드를 짜야 하다보니 시간이 부족했을 법한 문제.
예컨대 현재 바라보는 위치가 북쪽(0)인 경우, 북쪽 기준으로 '왼쪽'은 서쪽이고, 2d 리스트에서 서쪽으로 이동하는 좌표는 (0, -1)이다.
(아래 코드의 dirs)
이런 식으로 "현재 바라보는 위치 & 해당 위치 기준, 왼쪽으로 이동하는 좌표상의 방법"을 연결해야 하고,
"현재 바라보는 위치 기준, 뒤로 이동하는 좌표상의 방법"도 정의해야 한다.
북쪽 기준으로 '뒤'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좌표가 남쪽으로 이동해야 하며, 2d 리스트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는 좌표는 (1,0)이다.
(아래 코드의 back)
문제에서 정의한 북->서->남->동 은 숫자로 각각 0 -> 3 -> 2 -> 1 에 대응된다.
즉 next head = (head - 1) % 4 형태로 next head를 정의해야 한다.
import sys | |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
from copy import deepcopy | |
n, m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
dirs = [(0,-1), (-1,0), (0,1), (1,0)] | |
back = {0:(1, 0), 1:(0,-1), 2:(-1,0),3:(0,1)} | |
# a = {0:"북",1:'동',2:'남',3:"서"} | |
# 현재 청소기 좌표 | |
y, x, head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
maps = [] | |
for _ in range(n): | |
maps.append(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
def bfs(start, maps): | |
queue = deque() | |
queue.append(start) | |
# 청소기가 청소한 횟수 | |
cnt = 0 | |
while queue: | |
y, x, head = queue.popleft() | |
if maps[y][x] == 0: | |
# 청소하지 않은 곳은 0이고, 벽은 1이기 때문에 | |
# 둘 모두와 겹치지 않는 2를 '청소 완료한 좌표'로 정의 | |
maps[y][x] = 2 | |
cnt += 1 | |
# 바라보는 곳 기준 왼쪽으로 이동하기 위한 좌표 | |
dy, dx = dirs[head] | |
# 왼쪽으로 이동했을 때의 좌표 | |
ny, nx = y + dy, x + dx | |
# 바라보는 곳 기준, 후진해야 할 때의 좌표 | |
by, bx = back[head] | |
#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는 경우 | |
cant_move = True | |
for ty, tx in dirs: | |
# 청소할 곳이 남아있으면, 그곳으로 움직일 수 있음 | |
if maps[y+ty][x+tx] == 0: | |
cant_move = False | |
break | |
if 0 <= ny < len(maps) and 0 <= nx < len(maps[0]): | |
# a조건 | |
if maps[ny][nx] == 0: | |
new_head = (head - 1) % 4 | |
queue.append((ny, nx, new_head)) | |
elif cant_move: | |
# d조건. | |
if maps[y+by][x+bx] == 1: | |
break | |
else: | |
# c조건 | |
queue.append((y+by, x+bx, head)) | |
else: | |
# 'b조건' | |
new_head = (head - 1) % 4 | |
queue.append((y, x, new_head)) | |
else: | |
# b조건 | |
new_head = (head - 1) % 4 | |
queue.append((y, x, new_head)) | |
return cnt | |
print(bfs((y,x,head), maps)) |
'프로그래밍 > 코딩테스트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프로그래머스. 2020 카카오 recruit - 가사 검색 (Level 4) (1) | 2019.11.10 |
---|---|
[Python] 프로그래머스. 2018 카카오 recruit - 자동완성 (Level 4) (0) | 2019.11.09 |
[Python] 프로그래머스. 기지국 설치 (Level 3) (0) | 2019.11.07 |
[Python] 프로그래머스. 2019 카카오 recruit - 후보 키 (0) | 2019.11.06 |
[Python] 프로그래머스. 섬 연결하기 (Level 3) (0) | 2019.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