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고 기록하는, 경제학과 출신 개발자의 노트

학습일지/네트워크 17

WebRTC - 개념과 통신방식, 프로토콜

WebRTC Real time Communication on Web Browsers / Mobile App을 가능하게 하는 Framework. 즉 text 형태로도, video 형태로도 가능하다는 뜻. P2P만을 말하는 건 아니다. 단순한 P2P보다 훨씬 복잡함. 크게 네 가지 step을 거쳐 동작한다. Signalling Connecting Securing Communicationing. 보통 WebRTC를 사용한 통신의 대부분이 P2P인 것뿐이다. 왜 등장했는가? WebRTC 이전에는 Server가 MiddleMan 역할을 했다. 즉, 사용자 간 통신의 모든 부하를 서버가 떠맡는 구조였다. Scalable에 한계가 있는 구조 / 유지하기 비싸다. 그럼 아예 이렇게 통신하게 하면 어떨까? 중간에 서버가..

HTTP

목차 HTTP 특징 구조 메소드 URL과 URI HTTP 버전별 특징 nginx와 apache HTTP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기본적으로 텍스트를 전송한다. 특징 TCP/IP 기반으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요청을 보내고 받음. 무상태성 (Stateless)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각각 HTTP로 통신할 때, 상대방의 State를 기억하거나 저장하지 않는다. 비연결성 (Connectionless) 요청을 받은 서버가 응답을 마치면, 소켓을 유지하지 않고 연결을 끊는다. 요청에는 반드시 응답이 일대일로 대응된다. 서버가 응답을 보내더라도, 클라이언트가 받지 못할 수 있으므로 클라이언트가 각 상황별 대응을 결정해야 함 클라이언트는 일정 시간..

[Edwith] 통신의 기초 5. 통신보안

https://www.edwith.org/tel-ewha-course/joinLectures/13274 통신의 기초 강좌소개 : edwith - 도인실 www.edwith.org 5. 통신보안 정보통신보안 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고 저장한 후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불법훼손 / 변조 / 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적, 기술적 방법 랜섬웨어: 정보를 납치한 뒤 풀어주는 대가로 돈을 요구하는 형태 보안의 목표 기밀성(confidentiality): 소유자가 원하는 대로 정보의 비밀이 유지되어야 함 (아무나 볼 수 없도록) 무결성(integrity): 비인가된 자에 의해 정보가 변경, 삭제, 생성되지 않도록 ->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이 보장되어야 함 가용성(availability): 정보 시스템..

[Edwith] 통신의 기초 4. 이동통신

4. 이동통신 유선통신 vs 무선통신 유선전화 = 전화교환원이 존재. 통화하려는 두 사람을 직접 연결하는 식. 교환원은 당연히 이제 없지만, 유선 전화를 교환하는 교환대는 여전히 존재 기본적으로는 ‘국가 - 도시 - 지역 - 구내’ 개념으로 번호가 분리되어 있다. 82 - 02(서울) - 0000 - 0000 같은 구내 연결 = 짧은 교환과정, 거리가 멀어질수록 긴 회선을 사용해서 연결을 시도하는 것. 따라서 이 당시만 해도 거리가 멀어질수록 요금이 비쌌다. 무선 통신의 등장 송신탑에서 최대한 멀리 쏘아보내서 전화보내는 사람 / 받는 사람을 연결하는 게 초기 방식. 이 방식은 먼 거리일수록 통신 전력이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음. 그래서 ‘굳이 최대한 멀리 쏘는 대신, 지역별로 나누어서 해당 지역 중..

[Edwith] 통신의 기초 3강. 인터넷

https://www.edwith.org/tel-ewha-course/joinLectures/13274 통신의 기초 강좌소개 : edwith - 도인실 www.edwith.org 3. 인터넷 IP주소 IP = Internet Protocol. TCP/IP 5계층 중 Internet Layer가 IP계층. -> 네트워크가 서로 달라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 전송하고자 하는 최종 목적지가 바로 IP주소. 이 데이터를 누구에게 전달할지를 IP주소 보고 판단. IP계층에서 헤더값으로 붙는 게 IP. IP vs DNS(도메인 네임 서버) 인터넷 사용할 때 ‘이름’을 IP주소로 변경하는 게 DNS. 사용자의 domain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한다. IPv4 주소: 32bit. 이론적으로 42억개 정도의 주..

[Edwith] 통신의 기초 2강. 통신 프로토콜

https://www.edwith.org/tel-ewha-course/joinLectures/13274 통신의 기초 강좌소개 : edwith - 도인실 www.edwith.org 2. 통신프로토콜 프로토콜이란? 통신회선을 이용해 컴퓨터 - 컴퓨터, 컴퓨터 - 단말기끼리 데이터를 주고받는 경우 “상호약속” 무엇을, 어떻게, 언제 통신할 것인지 약속하여 통신오류를 피하기 위한 규약. 프로토콜의 3요소 구문(syntax): 데이터블록의 format(형식). 의미(Semantics): 상호작용, 오류제어 등을 위한 제어정보. 동기(Timing): 속도 / 순서를 상호간에 맞추는 것. 실제 프로토콜의 기능… 많은 기능을 수행하며, 통신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동기 제어 (synchronization) 패킷의 분리 ..

[Edwith] 통신의 기초 1강. 통신의 기본 개념

https://www.edwith.org/tel-ewha-course/joinLectures/13274 통신의 기초 강좌소개 : edwith - 도인실 www.edwith.org 1. 통신의 기본 개념 통신이란? 사람 / 기계들 간에 여러 종류의 매체를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말함.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사를 정확히 전달한다. 3요소 송신자 (보내는 자) + 수신자 (받는 자) 통신 매체 (채널, 링크, 회신) 프로토콜 (통신을 위한 적절한 절차를 말함. 통신규약) 정보 통신 정보: 데이터를 수집, 가공해 목적에 따라 정돈해놓은 유용한 상태. 통신: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 / 기계들 간에 여러 종류 매체를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 형태 단방향: 방송, 이메일 등 한쪽으로만 신호가 전달 양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