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고 기록하는, 경제학과 출신 개발자의 노트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567

2022.11.05 한국미술의 서사 - 두손갤러리 전시

한국미술의 서사 (The Narrative of Korean Art) 라는 주제로, 정동 1928 아트센터에서 진행한 전시. '한국의 독자적 정체성에 기반을 둔 우리의 고미술과 현대의 미술작품을 한 자리에서 보고자 하는 특별 기획전' 고려 청자에서 고미술 목기, 금속공예와 단색화, 비디오 아트, 추상미술까지 어떻게 아우러져 보여지며, 한국 미술만의 독특한 성격과 창의성이 어떻게 녹아져 있는지를 보여주겠다 전시회 콘셉트에 사실 기대를 많이 했다. 일반적으로는 특정 시대의 예술을 다루는 전시가 열리지, 시대를 넓게 잡고 작품을 전시하는 건 전시회가 아니라 박물관에서 하는 경우가 많으니까. 박물관이 아니라 전시회였기 때문에, 이런저런 작품을 나열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어떤 작품이 어떻게 배치되었는지, 어떻게 ..

일상 속 생각 2022.11.05

KubeCon 2019 - Istio Multi-Cluster Service Mesh Patterns Explained

https://youtu.be/-zsThiLvYos Multi cluster를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 Performance Cost (Dev for cheaper) Failover / Redundancy (Availability) 비즈니스적인 이유로도 멀티 클러스터를 요청하는 고객이 많았음. Secure Workload 외부 공격 방지 (attack vector) auditing of public internet traffic 기존 On-prem과 cloud 간 통신 pod to pod, cluster to cluster 통신에서 데이터 Security 간단한 cluster configuration 예시 각 클러스터에는 worker node pool이 존재함. (VM / Bare Metal 무관) ..

istio 개념 정리 (3) - mTLS Security

Istio Security k8s의 여러 노드에 app을 배포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 일반적으로 https는 client server 통신 과정에서 주고받는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man-in-the-middle attack 상황에서도 보안을 확보하는 것. k8s 클러스터 내에서 pod 간 통신이 이루어질 때에도 https 방식의 통신을 권장함. 보통 Brower -> Load balancer, Load balancer -> Istio ingress gateway 정도는 외부 접근 가능 영역이므로 https와 같은 암호화된 통신방식이 좋다는 건 안다. istio 없는 상황에서, 클러스터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pod 간 통신에도 https를 적용하는 건 매우 귀찮은 작업. 보통은 k8s 클러스터..

WoowaCon 2022 - 회원 시스템 이벤트 아키텍처로 구축하기

https://www.youtube.com/watch?v=b65zIH7sDug 회원시스템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구축하기2015년 모놀리틱 구조로 배민 서비스 구현.J커브 형태로 서비스가 급격히 성장하며 수없이 장애가 터짐따라서 2019년에 배민의 모든 서비스를 Microservice로 분리하였음.서비스 자체를 microservice들의 집합으로 구성하는 사례는 이제 많아졌으니, 하나의 microservice를 event-driven으로 구성한 사례를 설명하고자 함.   Microservice와 event-driven이 같이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Microservice는 서비스와 서비스 간 '느슨한 결합' (loosly coupled) 을 지향함.Event-Driven이 '느슨한 결합' 형태를 지원하는 데..

Deview 2021 - istio/Envoy로 Multi-IDC L7 로드밸런서 만들기

Deview 2021: https://deview.kr/2021/sessions/502 당신의 대문을 책임집니다. Istio/Envoy로 Multi-IDC L7 로드밸런서 만들기 발표자 : 김동경 deview.kr 영상: https://tv.naver.com/v/23651554 Google에서 Multi-Cluster Application을 제공하는 플랫폼의 형태 여러 Region에 배포된 클러스터를 향해 트래픽이 전달됨 Fleet이라는 product - 물리적으로 나뉘어 있는 클러스터를 하나의 logical cluster처럼 만드는 기능 cluster API - 하나의 API로 여러 region에 클러스터를 배포할 수 있음. 멀티 클러스터로 트래픽을 분산하는 Load balancer에는 앞단에서 사용될..

KubeCon 2019 - The story of Why we migrate to gRPC and How we go about it (Spoti

https://youtu.be/fMq3IpPE3TUThe story of Why we migrate to gRPC and How we go about itMatthias Grüter. Engineering Manager in the infrastructure group. gRPC based infrastructure로 전환한 이유gRPC based infrastructure로 전환한 방법2500여 개의 내부 serviceingress로 들어오는 request 가 초당 8백만 (Query for Second서비스 간 통신에는 자체 개발한 protocol을 사용하고 있었음. (이름은 Hermes) RPC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통신 프로토콜이었음. gRPC보다는 http와 비교대상.동작에는 문제 없음그런데 왜 ..

istio 개념 정리 (2) - VirtualService / DestinationRule / Gateway

Canaries 애플리케이션의 사용량이 많을수록 유용한 기능. 사용자가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새로운 버전을 100% 바로 배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음. istio 없이 Kubernetes component로 Canary 적용하기 Single Service에 multiple pod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함. deployment에 Label 붙이고, service에서 matchLabel로 pod 선택하는 게 가능하기 때문 k8s의 load balancing은 기본적으로 round robin. 따라서 위 그림과 같은 상황이라면, new version (staff-service:6)은 전체 트래픽의 33%를 점유하게 됨 대신, 이 방법은 traffic의 %를 변경하려면 그만큼 pod 비율을..

istio 개념 정리 (1) - Service Mesh와 istio

Istio Istio : Service Mesh의 한 종류. Service Meshcluster-based MicroService 프로젝트가 많아지면서, k8s와 같은 Orchestration tool만으로는 기능 요구사항을 맞추기 어려워지며 대두된 서비스.일종의 Extra Layer of Software that you deploy alongside k8s.Multiple Software Components가 서로 통신하고 연결되어 있는 Distributed Architecture라면 사용할 수 있음. 반드시 K8s 환경에서만 쓰이는 게 아님. 예시를 위한 도식. 각 Microservice에는 pod가 있고, 보통 하나의 pod에는 하나의 Container가 있다. 각각의 microservice는 Se..

KubeCon 2018 - Using gRPC for long-lived and Streaming RPCs

Using gPRC for long-lived and Streaming RPCs 발표자: Eric Anderson - gRPC Java 팀 tech lead. Google에서 근무 발표자료: https://kccna18.sched.com/event/GrWo 발표영상: https://youtu.be/Naonb2XD_2Q Long-Lived gRPC란? RPCs that last minutes / hours/ days. Long polling (Hanging Get). 예컨대 서버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하는 로직. 강연에서는 Notification / Watches를 예시로 들었음. Hanging Get : 서버에서 요청에 응답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될 때까지 ..

if kakao 2021 - PostgreSQL ecosystem

https://if.kakao.com/session/59 if(kakao)2021 함께 나아가는 더 나은 세상 if.kakao.com PostgreSQL EcoSystem 1996년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오픈됨. 현재까지도 1년에 한 번은 메이저 버전이 오픈됨. Extension: 다양하고 실험적인 기능을 패키지 형태로 제공하는 기능. 예시: 데이터 암호화 기능 (pg), pivot table 쿼리를 쉽게 구현할 수 있는 tablefunc. FDW : Foreign Data Wrapper 원격지의 데이터를 로컬 table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extension. 원격 데이터 + 로컬 데이터 join이나 DML 실행이 가능함. 데이터 처리 로직을 보다 간단히 구현할 수 있음. Orafce : 오라클과 ..

반응형